2024. 10. 4. 17:22ㆍ카테고리 없음
지주막하출혈 원인 증상
오늘 포스팅에서는 지주막하 출혈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지주막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매우 생소하게 들리죠? 자주 다치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끔 드라마보다 보면 뒷목 잡고 쓰러지는 장면은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이런 증상이 지주막하 출혈이 생겼을 때 생기는 현상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지주막하 출혈에 대해 알아볼까요?


지주막이란
인간의 뇌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여러 겹의 막으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이 뇌를 보호하는 막을 크게 경막, 지주막, 연막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연막은 가장 안쪽에 존재하며 연막과 약간 떨어진 위치에 거미줄 모양의 지주막이 위치하고 그 위를 경막이 덮고 있는 구조입니다. 연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을 지주막하라고 하며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큰 혈관들이 지나다니며 척수액이 지나다니는 통로이기도 합니다.


지주막하 출혈이란
지주막하 출혈은 뇌 표면에서 발생된 출혈이 두개골과 뇌 사이로 흘러들어가 뇌척수액과 혼합되는 질병을 말합니다. 뇌로 흘러 들어간 혈액은 뇌 주변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뇌가 정상 기능하는 것을 방해하며 심한 경우에는 뇌 손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지주막하 출혈 원인
지주막하 출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지만 대부분 뇌 표면에 존재하는 동맥이 손상되거나 동맥벽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그중에서도 동맥의 돌출된 부위인 동맥류 파열이 빈도가 높으며 동맥 혈관들이 얽혀있는 동정맥기형에서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지주막하 출혈 증상
지주막하 출혈은 뇌 근방에 출혈이 발생하여 피가 나오는 상태기 때문에 갑자기 극심한 두통과 함께 의식이 흐려지곤 합니다. 그리고 신경 마비로 인한 윗 눈꺼풀이 늘어지는 현상도 생길수 있습니다.
정도가 심해지면 뇌출혈로 이어질 수 있고, 혈액이 신경을 누를 경우 마비가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주막하 출혈 진단
지주막하 출혈이 의심되면 CT나 MRI 등 영상검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습니다.


지주막하 출혈 어떻게 치료하나요?
지주막하 출혈은 잘못 방치하면 큰 병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법을 정해야 합니다.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동맥류를 제거하는 것으로 재출혈을 예방할 수 있고 수액치료, 뇌압 조절 치료 등을 병행합니다.
특히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랜 기간 꾸준히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